2023년 티스토리 전용 구글 검색엔진 등록하기 앞서서
블로그를 처음 개설하고 포스팅만 계속 올린다고 해서 포털사이트에 노출되는 것이 아닙니다.
포털사이트의 검색엔진에 등록하여 검색 로봇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최근 티스토리에서는 플러그인으로 구글 검색엔진 자동 연동이 가능하니 하나하나 진행하다 보면 매우 쉽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전용으로 구글 검색엔진을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Google) 검색엔진에 블로그 등록 및 사이트맵, RSS 추가
구글 검색엔진 같은 경우 티스토리 플러그인에 자동 연동될 수 있게 설정 가능합니다.
이전에는 스킨을 변경하면 html meta 코드를 다시 넣어줘야 했지만 이제는 그렇지 않아도 됩니다.
1. 블로그 관리자페이지에 접속해서 좌측 플러그인 탭을 클릭합니다.
2. 우측에 구글 서치콘솔 콘텐츠를 클릭합니다.
3. 새로 뜨는 팝업창에 '계정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구글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계정이 없다면 회원가입을 진행해주면 됩니다.
5. 구글 계정에 대한 액세스 요청창이 뜨면 '모두 선택'을 체크하고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다시 구글 서체콘솔 상세를 열고 '계정 연결하기'를 클릭합니다.
8. 연결이 완료되면 '적용' 버튼을 클릭하고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합니다.
9. 좌측 Sitemaps 클릭하여 sitemap.xml 이 잘 제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10. rss 입력 후 등록합니다.
제출 후 몇 초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제 구글 검색 로봇이 나의 콘텐츠를 찾기만을 기다리시면 됩니다. 대략 일주일 내로는 반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상 구글 검색 엔진 등록은 끝이 났습니다.
마치며
추가로 사이트맵과 RSS에 대해 궁금하실 겁니다.
두 개 모두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도우며 콘텐츠가 더욱 잘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입니다.
쉽게 말하면 사이트맵(sitemap.xml)은 검색 엔진에게 사이트의 구조와 콘텐츠를 알려주는 파일입니다.
RSS(Realy Simple Syndication)는 새로운 콘텐츠를 구독자들에게 자동으로 전달해주는 기술입니다.
네이버 검색엔진에 경우 등록해도 VIEW에 노출되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등록한다면 웹사이트란에 노출될텐데 트래픽 유입을 발생시키기엔 확률이 현저히 적습니다.
다음 검색엔진의 경우 별도 등록을 하지 않아도 티스토리 포스팅은 검색이 이루어지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결론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유입량은 구글,다음에서 좌우된다라고 인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IT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전문가가 작성한 2023년 무료 이미지 사이트 추천 (0) | 2023.05.27 |
---|---|
카카오톡(카카오페이) 선물하기 현금영수증 자동발행 설정 (0) | 2023.05.26 |
현 웹에이전시 종사자가 알려주는 홈페이지 제작 업체(웹에이전시) 선정 방법 (0) | 2023.05.25 |
블루투스USB(동글이) PC 데스크탑 컴퓨터 연결하기 [에어팟, 버즈] (0) | 2023.05.25 |
카카오톡(카톡) 단체카톡방(단톡방) 몰래 조용히 나가는 법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