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상정보

적응형 VS 반응형 : 차이점 및 비교 정리

jojochoi 2023. 6. 22. 15:57
반응형

적응형 VS 반응형 : 차이점 및 비교 정리에 앞서

홈페이지나 쇼핑몰을 제작할 때 자주 들게 되는 것이 반응형 웹과 적응형 웹입니다.
그러나 전문가가 아니라면 생소한 용어일 수밖에 없습니다. 관련하여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web

반응형 웹이란?

웹 페이지의 콘텐츠와 레이아웃 등이 모두 디스플레이 크기에 자동적으로 맞춰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기술은 CSS라는 미디어쿼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인식합니다. 제 블로그를 예를 들면 브라우저 찾을 작게 줄였다가 늘리는 작업을 반복해도 크기에 맞춰 보이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이트가 반응형 웹이라고 합니다.

적응형 웹이란?

쉽게 말해 PC 버전, Mobile 버전으로 웹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디바이스나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반응하지 않으며, 정적인 레이아웃으로 구성하는 기술입니다. 즉, PC, Mobile 버전 소스가 각각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네이버와 같은 사이트가 PC, Mobile에 최적화되어 보이지만 디스플레이에 따라 반응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이트가 적응형 웹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웹 VS 적응형 웹

두 기술은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기술이 더 나은 기술이라고 단정 지어 말할 수는 없습니다.(물론 반응형 웹이 최신 기술이긴 합니다.)
그렇다면 장단점을 비교해 보고 종합하면 결론을 내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웹의 장단점

장점:
- 하나의 코드로 여러 장치에 대응하기 때문에 개발 및 유지보수가 편리합니다.
- 모든 장치에서 일관된 UI와 UX를 제공합니다.
- 다양한 장치 및 브라우저에서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 하나의 소스이기 때문에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유리합니다.

단점:
- 모든 장치에 대응하려면 이미지와 같은 리소스의 용량이 큰 경우 로딩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모든 장치에 대응하면서 레이아웃이 깨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적응형 웹의 장단점

장점:
- 각 장치에 맞는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 이미지와 같은 리소스를 장치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로딩속도가 빠를 수 있습니다.

단점:
- 여러 버전의 웹 사이트를 유지보수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과 유지보수가 비싸거나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장치가 출시될 때마다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태블릿 PC을 말합니다.)
- SEO 측면에서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PC, Mobile 버전이 함께 존재한다면 두 개 다 SEO에 등록해줘야 합니다.)

 

적응형 VS 반응형 : 차이점 및 비교 정리

비교적으로 간단한 콘텐츠로 구성되는 홍보와 소개하는 홈페이지의 경우는 반응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소개 홈페이지와 같습니다. 반면에 많은 콘텐츠를 구성하고 복잡한 사이트의 경우 적응형 웹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또는 쇼핑몰 사이트와 같습니다.

반응형